-
[AVR] CLCD 내부구조 및 핀설명 / WH1602B-YYH-JT#AVR study 2013. 1. 29. 15:56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선 CLCD의 내부구조와 함께 제가 구매한 CLCD의 데이터시트를 바탕으로 간단한 LCD 제어 헤더파일을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LCD의 내부구조 및 핀 설명
위의 블럭도가 LCD의 구조를 가장 잘 표현해주고 있습니다.
좌측에 블럭 안으로 들어오는 화살표들은 LCD의 pinout을 나타냅니다. 아래 표에 더 자세히 정리했습니다.
1,2번핀 : LCD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1번핀은 Vss 혹은 GND이고 2번핀은 5V Vcc전원입니다.3번핀 : VEE 또는 Vo라고 많이 표시하며 LCD에 표시되는 글씨의 Contrast를 결정하는 핀 입니다.
좌측과 같이 Vo(VEE) 핀에 가변저항을 연결해서 LCD의 글씨밝기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중요한 것은 가변저항을 사용하는것입니다. 이후에 어떤 부하가 달리느냐에 따라서 전압값이 변할 수도 있기 때문에 가변저항을 사용해서 그때그때 조정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개념은 3번핀에 들어가는 값은 전압이라는 것입니다. 가변저항을 연결할 때 Voltage를 센싱해야 하므로 반드시 병렬로 회로를 구성해주어야 합니다.
만일 직렬로 저항을 연결하게 된다면 전압을 센싱하는것이 아니라 전류를 센싱하는 것이 됩니다. 당연히 회로는 동작하지 않겠죠.
위의 Datasheet값을 참조하면 Supply Voltage For LCD에 해당하는 부분이 LCD에 표시되는 글씨의 밝기에 관한 내용입니다. 25˚C 상온에서 3.7V를 사용해야 한다고 나와 있습니다. 따라서 VDD전원 5V에 저항을 병렬로 1:2 비율로 분배해서 3.7V를 만들면 되겠습니다.
4,5,6번핀 : RS, RW, E에 해당하는 핀입니다. RS는 DATA를 쓸 것인지, 지시를 할 것인지에 대한 레지스터를 결정하는 비트입니다. RW는 LCD에 입력을 주고 글씨를 띄울 것인지, 코딩으로부터 LCD에 글씨를 출력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비트입니다. 즉 읽기와 쓰기를 결정하는 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6번핀 E는 Enable의 약자로써 다른 논리 IC에 있는 Enable신호를 결정하는 핀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E에 1이 쓰여져야지 비로소 LCD에 읽고쓰기를 허용하게 됩니다.
7~14번 핀 : D0~D7 데이터 버스 라인입니다. 실제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8비트 신호가 들어가게 됩니다.
15, 16번 핀 : LCD 백라이트의 밝기를 결정하는 핀 입니다. 위에서 3번핀과 비교를 했을 때 10Ω의 고정 저항을 달았습니다. 백라이트 밝기는 보통 자주 변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고정저항을 사용합니다.
위 Datasheet를 보면, 백라이트에 공급되는 값은 전류로 나와있는걸 알 수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3번핀에 들어가는 전압은 병렬로 센싱해야 하며 15번핀에 들어가는 전류는 직렬로 센싱해야 합니다. 따라서 5V VDD전압원과 10Ω저항을 직렬로 연결하시면 됩니다. 10Ω이 된 이유는 130mA를 사용하기 위해서 4.2V의 전압이 필요한데 큰 전압강하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ATmega128 모듈에 연결할 때는 다음과 같이 하시면 됩니다.
반응형'AVR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AVR] 간단한 LCD 구동 코드 예제 (0) 2013.01.29 [AVR] CLCD의 Instruction Table을 통한 헤더파일 작성 (0) 2013.01.29 LCD란? LCD의 동작원리와 장단점 (1) 2013.01.27 [AVR]타이머/카운터 - LED패턴 변화 (0) 2013.01.26 [AVR]타이머/카운터 - 정확히 1초 주기로 LED 점등 (0) 2013.01.26